본문 바로가기

WeZZ 's 공간292

파이썬 클래스 관련 1) 클래스 클래스(class)라는 것은 함수나 변수들을 모아놓은 집합체이다. 하지만 단순한 데이터 자료형이라고 하기엔 그 활용도가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다. 클래스를 어떻게 설계하고 그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는가에 의해서 복잡한 것을 단순하게 불분명한것을 명확하게 바꿀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하기도 한다. 다음은 파이썬 클래스의 가장 간단한 예이다.class Simple: pass 위의 클래스는 아무런 기능도 갖고 있지 않은 껍질 뿐인 클래스이다. 하지만 이렇게 껍질 뿐인 클래스도 인스턴스(instance)라는 것을 생성하는 기능은 가지고 있다. (인스턴스와 객체는 같은 말이다. 클래스에 의해서 생성된 객체를 인스턴스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인스턴스는 무엇인가? 인스턴스는 클래스에 의해서 만들어진 객체로 한.. 2012. 1. 8.
[펌] Source Insight 3.5 사용법 소스 관리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Source Insight'에 대한 사용법을 정리해 보았다. Source Insight 버전 3.5에 대한 사용법이므로 버전이 다를 경우 약간 다를 수 있다. 하지만 기본 사용법은 버전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다면 거의 비슷할 거라 생각된다. 프로그램 : Source Insight 3.5 영문 매뉴얼 : http://www.sourceinsight.com/docs35/ManualTOC.htm 1. 처음 실행 화면 -처음 실행하면 'No Project'로 아래와 같이 실행되지만, 지난 종료시 열렸던 프로젝트가 있었다면 그 프로젝트가 실행된다. 2. 툴바(Tool Bar) 자주 사용 되는 툴바는 붉은색으로 하이라이팅 해 주었습니다. ----------------.. 2012. 1. 5.
CISSP 필기 시험 합격했습니다!!!! 긴가 민가 했는데 아침부터 이런 메일을 받아서 기분좋네요.. 올해는 뭔가될란가 봅니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승하기 바랍니다.!!! 2012. 1. 4.
새로운 시작의 발걸음 2012 - 01 - 02 새로운 보금자리로 이동... 거리상으로는 가까우나, 이동 시간은 똑같음..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경험하는 만원 버스, 지하철, 얼마만에 경험해 보는지는 모르지만 정말 살만납니다!!!ㅠㅠ.............. 딱 봐도 못탈 것같은 버스를 비집고 들어가는 아가씨들..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좀 쉬고 싶었는데...쩝.. 2012. 1. 4.
파이썬 입출력 관련 2) 입력과 출력 우리들이 사용하는 대부분의 완성된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그에 맞는 출력값을 내어주게끔 되어 있다. 예를 들어보면 게시판에 우리가 작성한 글을 입력한다는 “확인” 버튼을 눌러야만(입력) 우리가 작성한 글이 게시판에 올라가는 것(출력)을 확인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 입력 ---> 처리(프로그램, 함수 등) ---> 출력 우리는 이미 함수 부분에서 입력과 출력이 어떤 의미인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지금부터는 좀 더 다양하게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방법과 파일을 읽고 쓰는 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사용자 입력 어떤 변수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값을 대입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input의 사용>>> a = input() 'Life is too shor.. 2012. 1. 3.
파이썬 함수 관련 1) 함수 함수를 설명하기 전에 믹서기를 생각해보자. 우리는 믹서기에 과일을 넣는다. 그리고 믹서를 이용해서 과일을 갈아서 과일 쥬스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일들은 우리의 생활 주변에서 언제든지 찾아 볼 수 있는 일이다. 우리가 믹서기에 넣는 과일은 입력이 되고 과일 쥬스는 그 출력(리턴값)이 된다. 그렇다면 믹서기는 무엇인가? (by http://www.wpclipart.com) 바로 우리가 여기서 알고자 하는 함수이다. 입력을 가지고 어떤 일을 수행한 다음에 결과물을 내어놓는 것, 이것이 함수가 하는 일이다. 우리는 어려서부터 함수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공부했지만 이것에 대해서 깊숙이 고민해 본 적은 별로 없다. 하지만 우리는 함수에 대해서 조금 더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2012. 1. 3.